본문 바로가기
일본생활

일본 중학생 육상경기에 대한 정보

by OtokO 2025. 5.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일본에 사는 평범한 샐러리맨입니다.

 

한국에서 육상에 얼마나 관심이 있을지 잘 모르지만, 최근 우리 애가 육상을 시작해서 육상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본 중학생 육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개요

2. 육상 종목 구성

3. 연습과 훈련 방식

4. 주요 대회

5. 일본의 중학교 수&도쿄도 내 육상부가 있는 중학교 수

6. 일본 중학생 육상 주요 대회 출전 조건

7. 선수 육성과 진로

8. 결론

1. 개요

일본은 학교 체육이 매우 활성화된 나라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다양한 스포츠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중학교(중학생) 육상경기는 학생들의 체력 향상은 물론, 전국적인 대회엘리트 선수 발굴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의 중학교 육상경기는 학교 단위의 동아리 활동(부활동, 部活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많은 중학생들은 육상부(陸上部)에 가입하여 방과 후 꾸준한 훈련을 받고 있으며, 학교 내 대회, 지방 대회, 도도부현(都道府県) 대회, 그리고 전국 대회(全日本中学校陸上競技選手権大会)까지 다양한 단계를 거치며 실력을 키운다.

 

2. 육상 종목 구성

중학생이 참가하는 육상 종목은 성인과 유사하지만, 일부 규칙이나 거리가 조정되어 있다. 주요 종목은 다음과 같다.

트랙 종목 (달리기)

  • 100m / 200m / 400m
  • 800m / 1500m / 3000m
  • 100m 허들 (여자: 100mH, 남자: 110mH)
  • 4x100m 계주 (릴레이)
  • 走高跳び(높이뛰기), 走幅跳び(멀리뛰기) 등

필드 종목 (도약/투척)

  • 멀리뛰기 (Long Jump)
  • 높이뛰기 (High Jump)
  • 포환 던지기 (Shot Put)
  • 창던지기 (Javelin Throw)
  • 원반 던지기 (Discus Throw) – 일부 지역 대회에 한함

복합 종목

  • 3종 경기 또는 4종 경기 형태로 구성되기도 한다 (예: 달리기 + 도약 + 투척)

3. 연습과 훈련 방식

일본의 중학교에서는 정규 수업이 끝난 후, 부활동 시간이 주어지며 이때 각 부서가 훈련을 진행한다. 육상부는 종목별 전문 코치가 있는 경우도 있고, 체육 교사가 겸임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훈련 루틴을 따른다.

  • 기본 체력 훈련 (러닝, 근력 트레이닝 등)
  • 종목별 기술 훈련
  • 동계 훈련: 기초 체력 강화 중심
  • 대회 시즌: 시합을 위한 피크 컨디셔닝

연습 시간은 주 5~6일이며, 주말에도 연습하거나 교외 시합에 참가하는 경우가 많다.

 

4. 주요 대회

① 전국 중학교 육상대회 (全日本中学校陸上競技選手権大会)

  •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중학생 육상대회로, 매년 8월경에 개최된다.
  • 참가 자격은 각 도도부현(현) 예선을 통과한 선수만 가능.
  • 일본육상연맹과 일본중학교체육연맹 주최.
  • 중학생 엘리트 선수가 전국적으로 겨루는 무대이다.

② 도도부현(都道府県) 예선

  • 전국 대회를 위한 지역 예선으로, 각 도도부현 단위로 열림.
  • 수준이 높아 선발 자체도 매우 경쟁적이다.

③ U16 일본 육상대회

  • 중학생 상위권 선수를 대상으로 한 대회.
  • U16이라는 연령 제한 내에서 실력 있는 선수를 육성하기 위해 도입됨.

5. 일본의 중학교 수&도쿄 육상부가 있는 중학교 수

2024년 기준으로, 일본 전국에는 총 9,882개 중학교가 있다.

  • 국립: 68교
  • 공립: 9,033교
  • 사립: 781교

◆도쿄도 내 중학교 수

2023년 기준으로, 도쿄도에는 총 800개 중학교가 있다.

  • 공립: 597교
  • 사립: 182교
  • 국립: 5교

도쿄도 내 육상부가 있는 중학교 수

도쿄도 내 육상부가 있는 중학교의 정확한 수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수도권의 사립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전체 사립 중학교 중 약 67%가 육상부를 보유하고 있다.

6. 일본 중학생 육상 주요 대회 출전 조건 

🏅 도도부현 대회 (都道府県大会)

도도부현 단위로 개최되는 중학생 지역 대표 육상 대회로, 전국대회 예선의 역할을 합니다.

 

출전 조건

  • 해당 지역(도도부현) 내 중학교에 재학 중일 것
  • 학교 또는 지역 예선을 통과할 것 (예: 시 대회, 군 대회)
  • 종목별 기준기록 또는 참가자 수 제한을 충족할 것
  • 지도교사 추천 및 학교장의 승인 필요

특징

  • 이 대회를 통해 전국대회(全中) 출전권이 부여됨
  • 지역마다 기준이 조금씩 다름 (예: 기록 상위 2명, 또는 일정 기록 이상)

※도도부현 대회(都道府県大会)에 출전하기 전의 조건 및 절차

도도부현 대회는 일본 전국 47개 도도부현(都道府県)에서 각각 열리는 중학생 공식 지역 육상 대회이다. 이 대회는 전국 중학교 육상 선수권 대회(全中)의 예선전 역할을 하며, 학교 대표 → 지역 예선 → 도도부현 대회 → 전국대회라는 구조로 진행된다.

 

◆출전 전 단계 (예선 절차)

①지구별 예선 대회 (지역 예선, 地区大会)

  • 시(市), 군(郡), 구(区) 단위에서 개최되는 지역 예선 대회에 출전한다.
  • 예: 도쿄도라면 "23구 예선 동부&서부", "다마 지역 예선 동부&서부" 등
  • 여기서 일정 성적 이상을 거둔 선수들이 도도부현 본선(都大会)에 진출할 자격을 얻는다.

기준 기록 충족

  • 일부 지역에서는 종목별 기준기록(標準記録)을 정해놓고, 해당 기록을 넘는 선수만 도대회에 출전 가능하게 된다.
  • 이는 실력 중심 선발을 위한 제도로, 예선 통과뿐 아니라 기록 요건도 충족해야 할 수 있다.

🏆 전국 중학교 육상경기 선수권대회 (全日本中学校陸上競技選手権大会, 통칭: 全中, 젠츄)

일본 전국의 중학생 최상위권 선수들이 모여 실력을 겨루는 가장 권위 있는 전국 대회이다.

 

출전 조건

  • 도도부현 대회를 통해 선발될 것 (예선 통과자)
  • 종목별로 일본육상경기연맹이 정한 기준 기록을 달성할 것
  • 중학교 재학생일 것
  • 각 종목은 보통 각 현 상위 1~2명, 그리고 기준기록 충족자에 한해 출전 가능

예시

  • 여자 800m의 경우, 기준기록 2분 20초를 넘겨야 하며, 현 대회에서 2위 이내여야 출전 가능
  • 계주는 팀 단위 출전, 도도부현별 1팀만 가능

🎽 U16 일본 육상대회 (U16 日本陸上競技大会)

만 16세 이하(중3~고1 수준)의 유망 선수들이 출전하는 신흥 전국 대회. 일본육상경기연맹 주관.

 

출전 조건

  • 만 16세 이하일 것 (출전 연도 기준)
  • 개인 신청제가 아니라 각 지역 추천 또는 기록 심사 기반
  • 정해진 기준기록 이상을 지방 대회 또는 공식 경기에서 달성한 선수
  • 중학교 또는 클럽 등록자일 것

특징

  • 중학생 상위권 선수와 고1 유망주가 함께 출전
  • 실력 기반 선발로, 전국 대회 경험이 없는 선수도 기록만 있으면 가능

대회명 출전 조건 요약 주최

도도부현 대회 지역 예선 통과, 학교 추천 각 도도부현 교육위원회
전국 중학교 대회 (全中) 도도부현 대회 상위권 + 기준기록 충족 일본중학교체육연맹 & 일본육상연맹
U16 일본 대회 기준기록 달성 + 연령 조건 (만 16세 이하) 일본육상경기연맹

 

 

7. 선수 육성과 진로

중학교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육상 선수는 고등학교 명문 육상부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도쿄의 城西大城西 고등학교, 효고현의 西脇工業 고교, 오사카의 大阪桐蔭 고교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일본은 스포츠 특기자 제도가 있어, 육상 실적이 뛰어난 학생은 고등학교 진학 시 우선 선발되는 경우도 있다. 이후 대학 육상부 또는 실업팀, 국가대표팀으로 진출하는 엘리트 코스도 존재한다.

 

8. 결론

일본의 중학생 육상은 단순한 체육 활동을 넘어, 학생의 성장과 진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스포츠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체계적인 훈련 시스템과 전국 단위의 대회 구조 덕분에, 일본은 국제 대회에서도 젊은 유망 선수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성과 중심의 훈련 방식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며, 앞으로는 건강한 성장을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스포츠 교육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반응형